Ko:Map Features
OpenStreetMap은 기본 데이터 구조(노드, 길, 관계)에 태그를 붙여서 지면에 있는 물리적인 지물(건물이나 도로 등)을 표현합니다. 각 태그들은 특정한 노드, 길, 관계로 보이는 지물의 지리적인 속성을 표현합니다.
OpenStreetMap의 자유로운 태그 시스템은 모든 지물마다 속성을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 커뮤니티는 각 태그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키와 값으로 이루어진 특정한 조합들에 비공식적인 표준으로서 동의했습니다. 하지만, 이용자들은 지도를 발전시키거나 이전에는 없었던 속성이 필요한 분석을 뒷받침하기 위해 새로운 태그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특정한 주제나 관심사와 관련된 태그의 짧은 설명은 지물 문서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많은 지물이 약간의 태그만 사용해서 설명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경로(path)는 highway=footway 같은 태그만 써서 정의할 수도 있습니다. 추가로 name=* 같은 태그를 다는 것은 자유입니다. 다만 OSM은 전 세계를 아우르는 포괄적인 지도이기 때문에, OSM에는 거의 대부분 태그로 표현할 수 있는 지물 유형이 수없이 있을 수 있습니다.
더 많은 태그나 이미 존재하는 태그에 제안된 변경 사항을 더 알고 싶다면 제안된 지물, 활발하게 쓰이지 않는 지물, 버려진 지물을 참조하세요. 만약 이 목록에서 원하는 태그를 찾지 못했다면, 새로운 태그 값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를 입증할 수 있다면 자유롭게 새로운 태그를 만드세요. 시간이 흐르다 보면 더 넓어진 여론에 맞춰 태그가 변경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좋은 태그들의 상당수는 일단 먼저 사용되었고 문서화는 나중에 되었습니다.
이 문서는 한국 지도를 만들 때 참조할 태그 권고안입니다. 아래에 설명되어 있지 않은 태그는 지도 지물 (영어) 문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한국 지도 만들기에 대해서는 WikiProject Korea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도로의 종류
한국의 도로는 도시를 연결하는 간선 도로와 도시 안의 시내 도로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간선 도로
키 | 값 | 구성 요소 | 설명 | 예시 |
---|---|---|---|---|
highway | motorway | ![]() |
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
highway | trunk | ![]() |
국도: 지도 상에 보통 원형 안에 숫자로 표기된 도로. 한두 자릿수. | ![]() |
highway | primary | ![]() |
특별·광역시도: 특별시 및 광역시 내에서 육각형 안에 숫자로 표기된 도로.
국가지원지방도: 지도상에 보통 네모 안에 숫자로 표기된 도로. 두 자릿수. |
|
highway | secondary | ![]() |
지방도: 지도상에 보통 네모 안에 숫자로 표기된 도로. 세 자릿수. | 412번 지방도 |
highway | tertiary | ![]() |
시·군도, 일일이 시·군도를 구별하기보다는 완전한 왕복 2차로 도로로 구별하는 경우가 많음. | |
highway | service | ![]() |
골목길, 소방 목적으로 사용되는 길, 도시 이외의 지역에서 경운기 한 대가 지나갈 정도의 길. | 골목길 |
시내 도로
시내 도로는 도로의 규모로 구분합니다.
공통
키 | 값 | 구성 요소 | 설명 | 예시 |
---|---|---|---|---|
highway | primary | ![]() |
왕복 6차로 이상의 도로(주요 간선 도로) | 종로 |
highway | secondary | ![]() |
왕복 4차로 도로(간선 도로) | |
highway | tertiary | ![]() |
왕복 2차로 도로 중 주거·상업용 외 이용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도로(지선 도로) | 시내 도로 |
도시·시가지
키 | 값 | 구성 요소 | 설명 | 예시 |
---|---|---|---|---|
highway | trunk | ![]() |
도시고속화도로. | ![]() 내부순환로 |
highway | residential | ![]() |
왕복 2차로 도로 중 보통 주거·상업용으로만 사용하는 도로. | 주거 도로 |
highway | unclassified | ![]() |
왕복 1~2차로 도로 중 주거(또는 상업) 용도로 사용하지 않으면서 지선 도로의 역할(간선 도로 간 연결로로서 교통량을 부담)도 거의 하지 않는 도로. | 기타 도로 |
highway | service | ![]() |
골목길,산업 단지, 아파트 내의 자동차가 다닐 수 있는 길, 주차장이나 건물로 이어지는 길. | 골목길 |
시골·마을
키 | 값 | 구성 요소 | 설명 | 예시 |
---|---|---|---|---|
highway | residential | ![]() |
왕복 2차로가 확보된 마을 안 도로 또는 마을로 직접적으로 이어지는 왕복 2차로 도로. | 주거 도로 |
highway | unclassified | ![]() |
시골에서 양 쪽으로 공간이 있는 왕복 1차로 도로. 마을을 연결하는 보조 도로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차량으로는 이러한 목적으로 잘 이용하지 않음. 논밭으로 내려가는 경사로가 있기도 함. | 골목길 |
highway | service | ![]() |
마을 안의 왕복 1차로 골목길, 주차장이나 건물로 이어지는 길. | 골목길 |
기타
그 외 도로에 사용할 수 있는 태그는 bridge, tunnel, lane, oneway, maxspeed, minspeed 등이 있습니다.
올림픽대로는 다음과 같이 표기 가능합니다.
|
성수대교는 다음과 같이 표기 가능합니다.
|
도로 이름
주의 : 도로명주소안내도에 표기된 도로 경로나 건물 데이터를 그대로 OSM에 복제하는 것은 불법입니다. 도로명주소에서 제공하는 도로명을 수동으로 OSM에 입력하는 것은 괜찮습니다. (2019년 1월 3일 도로명주소 안내센터에 전화로 확인함, GPIOIPG(Jaeu Jeong))
도로의 이름은 각 지방자치단체별 도로명주소(새주소)상의 도로를 따릅니다. 도로명주소가 만들어지지 않은 곳은 길만 일단 그려 둔 다음, 차후 도로 이름이 붙으면 나중에 지정합니다. 도로명에 대해서는 새로운 도로 체계 안내 페이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도로명주소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도로명을 표시해주시고 그 도로의 길이 어디에서 시작되며 어디서 끝나는지 확인하시고 그려주시길 바랍니다.
도로제작표준
도로를 그리실때에 다른 유저들의 오류수정 편의성과 지도 시안성을 위해서 반드시 시켜주시기 바랍니다.
기본표준
-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는 키 ref에 도로 번호를 지정합니다.
- 시내도로는 키 lanes에 차선의 개수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 도로의 차로 수가 2차로 이상이라 할지라도, 차선을 일일이 다 그리지 마시고 하나의 도로만 그려주세요.
- 고속도로, 국도는 종종 차선이 변경되거나, 도로가 분기될 수 있습니다. 이때 분기된 도로는 키 oneway(일방로)가 yes가 되고 도로의 방향이 지정됩니다.
- 고속도로와 고속도로/국도/지방도/시내도로는 interchange(IC) 또는 Junction(JC)에서 만날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는 각 도로에 해당하는 링크로 연결합니다. motorway와 primary가 만나면 motorway_link나 primary_link로 motorway와 primary가 연결됩니다. 해당 링크에는 IC 또는 JC의 이름을 지정합니다.
- 도로를 추가하실때에 도로명마다 길을 구분해서 추가해주세요. 오류 발생시에 수정이 더 용의해집니다.
도로분리기준
- 도로가 구조적으로 상하방향이 중앙분리대나 물리적인 구조물로 분리되어있을때
- 도로 대부분에 중앙분리구조물이 설치되있을경우(예시: 올림픽대로, 강변북로)
- 이 이외의 경우에는 무조건 한 개의 도로로 그려주십시오.
철도와 지하철
landuse=railway 문서도 참고하십시오. 모든 철도의 이름과 역의 이름은 코레일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를 따릅니다. 영업거리표 링크는 추후 올리겠습니다.
키 | 값 | 구성 요소 | 설명 | 지도상의 표시 | 사진 |
---|---|---|---|---|---|
railway | rail | ![]() |
철도 | ![]() |
![]() |
railway | subway | ![]() |
지하철 | ||
railway | station | ![]() |
기차역 또는 지하철역 | ![]() |
|
railway | crossing | ![]() |
철도 건널목 | ||
railway | subway_entrance | ![]() |
지하철 출입구 |
지하철 표기의 예
- 네트워크 항목은 운영 주체를 표기합니다. 예: 코레일, 서울메트로, 서울도시철도공사, 부산교통공사 등
- tunnel에는 선로가 지하에 있을 경우 yes. 지상에 있을 경우 no로 표기합니다.
- name에는 노선 이름, ref에는 노선 번호(숫자일 경우 ~호선을 빼고, 한글일 경우 ~선을 빼고 작성)을 표기합니다.
예: 서울 지하철 2호선
건물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Ko:Key:amenity를 참고하십시오.
키 | 값 | 구성 요소 | 설명 | 사진 |
---|---|---|---|---|
building | apartments | ![]() |
아파트. 공동 주택 양식의 하나. 오 층 이상의 건물을 층마다 여러 집으로 일정하게 구획하여 각각의 독립된 가구가 생활할 수 있도록 만든 주거 형태이다. 지상층에는 상점이 있을 수 있다. 상점을 같이 표시하려면 building:levels=*를 태그하고 전체 층의 수를 표시한다. | ![]() |
building | dormitory | ![]() |
기숙사. 학교나 회사 따위에 딸려 있어 학생이나 사원에게 싼값으로 숙식을 제공하는 시설 | ![]() |
building | hotel | ![]() |
호텔. 숙박을 할 수 있는 여러 개의 방으로 구성된 건물. 보통 오락과 주차를 위한 호텔 부지와 tourism=hotel을 같이 사용한다. | ![]() |
building tourism |
yes motel |
![]() |
모텔 | 100px |
표기법
대한민국 내의 명칭은 고유명사를 제외하고는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따르며, 그 외의 지역의 명칭은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을 따릅니다. 띄어쓰기는 현지에서 사용되고 있는 형태를 존중하며, 그 형태를 알 수 없는 경우에는 단어별로 띄어 씁니다.
사용법 | 예 | 주석 |
---|---|---|
name=한국어 이름 | name=경부고속도로 | 본디 Key:name은 하나의 기본 이름만을 쓰기 때문에 한국어 명칭만 기술합니다. 지물의 상태 (예: '(공사중)', '(예정)') 또한 이름에 같이 적지 않습니다. |
name:en=영어 표기 | name:en=Gyeongbu Expressway | 도로명주소는 영어가 아닌 로마자 표기법이 원칙이므로, 도로명주소 표지판이나 도로명주소 공식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도로명주소의 로마자 표기는 name:ko-Latn 태그를 사용하여 추가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name:ko=한국어 표기 | name:ko=경부고속도로 | - |
name:ko-Latn=한국어 로마자 표기 | name:ko-Latn=Gyeongbugosokdoro | - |
행정 구역 이름
시를 제외한 모든 행정 구역 이름에는 단위가 붙어야 합니다. 시를 제외한 이유는 이미 작업이 이루어진 부분도 있으며, 통상적으로 한국에서 명명될 때 대전시라 명명되지 않고 대전이라 명명되기 때문에 제외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Korea tagging 문서를 참조하세요.
주요 지물
공중 케이블
이 태그는 사람이나 화물을 공중 케이블을 사용해 운반할 때 사용하는 여러 종류의 대중 교통에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케이블카, 체어 리프트, 드래그 리프트 등이 있습니다. 이 태그를 사용하는 법을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Ko:Aerialway 문서를 참조하세요.
종류 | 태그 | 요소 | 설명 | 표시 | 이미지 |
---|---|---|---|---|---|
공중 케이블의 종류 | |||||
aerialway | cable_car | ![]() |
케이블카, 한 쌍의 선에 객실을 매달고 사람이나 짐을 운반하는 장치. | ||
aerialway | gondola | ![]() |
곤돌라, 하나의 선에 객실을 매단 리프트의 일종. | ||
aerialway | chair_lift | ![]() |
체어리프트, 주로 스키장에서 사람들을 실어나르는 장치. | ||
aerialway | mixed_lift | ![]() |
체어리프트와 곤돌라를 혼합한 새로운 종류의 리프트. | ||
aerialway | drag_lift | ![]() |
산 위로 사람들을 끌어 올리는 장치 | ||
aerialway | t-bar | ![]() |
T자형 스키 리프트. | ||
aerialway | j-bar | ![]() |
J자형 스키 리프트. | ||
aerialway | platter | ![]() |
aerialway=drag_lift의 종류. | ||
aerialway | rope_tow | ![]() |
aerialway=drag_lift의 종류. 스키어들이 잡고 슬로프 위로 오르는 회전 로프. | ||
aerialway | magic_carpet | ![]() |
매직 카펫, 무빙워크와 비슷한 스키 리프트의 일종. | ||
aerialway | zip_line | ![]() |
짚라인, 객실 없이 선에 연결된 벨트를 잡고 이동하는 장치. | ||
장비 | |||||
aerialway | pylon | ![]() |
리프트나 케이블카의 선을 지탱하는 철탑. | ||
aerialway | station | ![]() ![]() |
'리프트나 케이블카에 탑승하거나 빠져나올 수 있는 곳. | ![]() |
|
기타 | |||||
aerialway | canopy | ![]() |
더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aerialway=zip_line을 사용해 주세요. 이 태그는 oneway=yes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내려가는 방향으로 그려 주세요. | ||
aerialway | goods | ![]() |
화물 전용의 리프트. | ||
aerialway | 사용자 정의 | ![]() ![]() |
Taginfo 문서에서 자주 사용하는 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This table is a wiki template with a default description in English. Editable here.
항공 관련
주로 비행기나 헬리콥터의 운항에 사용하는 공항, 비행장입니다. 이 태그를 사용하는 법을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Ko:Aeroway 문서를 참조하세요.
키 | 값 | 요소 | 설명 | 표시 | 이미지 |
---|---|---|---|---|---|
aeroway | aerodrome | ![]() ![]() |
공항. | ||
aeroway | apron | ![]() |
계류장. 비행기가 멈추거나, 비행기를 타고 내리는 영역. | ||
aeroway | control_tower | ![]() ![]() |
![]() Use man_made=tower + service=aircraft_control instead. |
||
aeroway | control_center | ![]() ![]() |
![]() |
||
aeroway | gate | ![]() |
탑승객이 탑승하기 전에 기다리는 게이트 번호. | ||
aeroway | hangar | ![]() ![]() |
기체를 넣기 위해 넓은 영역을 차지하는 큰 공항 건물. | ||
aeroway | helipad | ![]() ![]() |
헬리콥터가 착륙하는 영역 또는 플랫폼. | ||
aeroway | heliport | ![]() ![]() |
헬리콥터용으로 지어진 특별한 이착륙장. | ||
aeroway | navigationaid | ![]() |
항공기에게 시각적으로 안내를 도와주는 시설. | ||
airmark | beacon | ![]() |
![]() |
||
aeroway | runway | ![]() ![]() |
이착륙장의 활주로. | ||
aeroway | taxilane | ![]() ![]() |
계류장 등에 있는 경로. | ||
aeroway | taxiway | ![]() ![]() |
공항의 유도로. | ||
aeroway | terminal | ![]() ![]() |
공항의 승객용 건물. | ||
aeroway | windsock | ![]() |
파일럿이 풍향과 풍속을 볼 수 있게 해 주는 지물. | ||
aeroway | highway_strip | ![]() ![]() ![]() |
![]() |
||
aeroway | 사용자 정의 | ![]() ![]() |
Taginfo 문서에서 자주 사용하는 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This table is a wiki template with a default description in English. Editable here.
시설
화장실, 공중전화, 은행, 약국, 카페, 주차장, 학교 등, 관광객이나 거주민이 사용하는 시설을 지도에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자세한 사용법은 Amenities 문서를 참조하세요.
범례 | 값 | 요소 | 설명 | 표시 | 사진 | |
---|---|---|---|---|---|---|
음식 | ||||||
amenity | bar | ![]() ![]() |
주점은 허가 하에 알코올 음료를 판매하는 상업 시설입니다. 주점은 시끄럽고 활기찬 분위기의 공간으로, 파티와 비슷하며 일반적으로 음식은 판매하지 않습니다. 주점과 바, 또는 식당과의 차이는 amenity=pub;bar;restaurant를 참조하세요. | |||
amenity | bbq | ![]() |
BBQ 혹은 바비큐는 음식을 조리할 때 쓰는 고정 그릴입니다. 주로 야외(공원이나 해변 등)에 설치되며,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연료는 fuel=* 태그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예시: fuel=wood;electric;charcoal). 근처에 식탁과 의자가 있다면 tourism=picnic_site 태그를 붙이세요. 캠프파이어나 불구덩이는 이 태그 대신 leisure=firepit 태그를 사용하세요. | |||
amenity | biergarten | ![]() ![]() |
비어 가든(Biergarten 또는 beer garden)은 알코올 음료와 음식이 준비되어 있는 야외 공간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amenity=pub;bar;restaurant를 참조하세요. 비어 가든은 일반적으로 맥주 홀, 펍, 바, 식당 근처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런 경우, amenity=pub;bar;restaurant 태그에 biergarten=yes를 같이 붙이세요. | |||
amenity | cafe | ![]() ![]() |
카페는 일반적으로 간단한 음식과 음료(주로 커피와 차)를 제공하는 비공식적인 공간입니다. 커피숍이라고도 하며, 외국에서는 coffeehouse, bistro, sidewalk cafe라고도 합니다. 음식이나 음료의 종류는 cuisine=*과 diet=*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amenity=restaurant;bar;fast_food 태그도 참조하세요. | |||
amenity | drinking_water | ![]() |
식수대(Drinking water)는 사람들이 텀블러 등에 물을 담거나 직접 마실 수 있도록 하는 곳입니다. 여기서 제공되는 물은 주로 식수용으로만 쓰입니다. 영어로는 Drinking water, drinking fountain, 또는 bubbler 등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 |||
amenity | fast_food | ![]() ![]() |
패스트 푸드 가게입니다(amenity=restaurant도 참고하십시오). 음식이나 음료의 종류는 cuisine=*과 diet=*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 |||
amenity | food_court | ![]() ![]() |
푸드코트는 다양한 식당 카운터가 있으며, 음식을 먹는 공간은 공유하는 곳입니다. 일반적으로 마트나 공항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 |||
amenity | ice_cream | ![]() ![]() |
아이스크림 가게입니다. 아이스크림이나 언 요거트를 판매합니다. | |||
amenity | pub | ![]() ![]() |
펍. 맥주나 기타 알코올 음료를 판매하는 장소입니다. 영국에서는 음식이나 숙박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자세한 설명, 그리고 바와 펍의 차이는 amenity=bar와 amenity=pub을 참조하세요. | |||
amenity | restaurant | ![]() ![]() |
패스트 푸드 가게를 제외한 음식점입니다(패스트 푸드 가게는 amenity=fast_food를 참고하십시오). 음식이나 음료의 종류는 cuisine=*과 diet=*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 |||
교육 | ||||||
amenity | college | ![]() ![]() |
(4년제가 아닌 혹은 종합대학이 아닌) 대학교 캠퍼스 또는 건물. | ![]() |
||
amenity | kindergarten | ![]() ![]() |
유치원. 아직 초등학교를 다니기에 어린 아이들을 가르치는 시설입니다. | ![]() |
||
amenity | library | ![]() ![]() |
도서관. 지자체나 교육 시설 등에서 설립한 책 대여 및 독서 공간입니다. | |||
amenity | public_bookcase | ![]() ![]() |
길거리에 있는 책장입니다. 책을 넣고 뺄 수 있습니다. | |||
amenity | school | ![]() ![]() |
학교와 학교 부지. | ![]() |
||
amenity | music_school | ![]() ![]() |
음악 학교. | |||
amenity | driving_school | ![]() ![]() |
운전학원. | |||
amenity | language_school | ![]() ![]() |
어학당. | |||
amenity | university | ![]() ![]() |
(4년제 또는 종합)대학교 또는 대학교 부지. | ![]() |
||
교통 | ||||||
amenity | bicycle_parking | ![]() ![]() |
자전거 주차장. | |||
amenity | bicycle_repair_station | ![]() ![]() |
직접 자전거를 수리할 수 있는 공간. | |||
amenity | bicycle_rental | ![]() ![]() |
자전거 대여소. 자전거를 빌릴 수 있는 곳입니다. | |||
amenity | boat_sharing | ![]() ![]() |
보트를 공유하는 공간. | |||
amenity | bus_station | ![]() ![]() |
버스 정류장. 버스가 승객들의 승하차를 돕기 위해 잠깐 서는 곳입니다. public_transport=station로도 태그를 붙일 수 있습니다. | |||
amenity | car_rental | ![]() ![]() |
자동차 대여소. 흔히 렌터카로 불리는 곳입니다. 자동차를 빌릴 수 있는 곳입니다. | |||
amenity | car_sharing | ![]() ![]() |
차를 공유하는 공간. | |||
amenity | car_wash | ![]() ![]() |
세차장. | |||
amenity | charging_station | ![]() |
충전소. 전기 자동차를 충전시킬 수 있는 곳입니다. | |||
amenity | ferry_terminal | ![]() ![]() |
페리 터미널/정류장. 사람이나 차 등이 페리에 타는 곳입니다. | |||
amenity | fuel | ![]() ![]() |
주유소. 도로변에 있는 주유소에는 highway=service 태그가 붙어 있기도 합니다. | |||
amenity | grit_bin | ![]() |
제설함. 모래 또는 소금과 모래의 혼합물을 저장해 놓는 통입니다. | |||
amenity | motorcycle_parking | ![]() ![]() |
오토바이 주차장. 오토바이 전용 주차장입니다. | |||
amenity | parking | ![]() ![]() |
주차장. 주로 차를 세우는 곳입니다. 점 또는 영역(access 태그 없음)에는 주차장 아이콘이 붙습니다. 영역에는 색이 칠해집니다. 주차장 도로는 highway=service와 service=parking_aisle을 사용하세요. | |||
amenity | parking_entrance | ![]() |
주차장 출입구. 지하주차장이나 다층 주차장에 존재합니다. type=site와 site=parking을 이용하면 여러 주차장 입구를 하나로 묶을 수 있습니다. amenity=parking과 섞어 쓰지 마세요. | |||
amenity | parking_space | ![]() ![]() |
단일 주차 공간입니다. type=site와 site=parking을 이용하면 여러 주차 공간을 하나로 묶을 수 있습니다. amenity=parking과 섞어 쓰지 마세요. | |||
amenity | taxi | ![]() ![]() |
택시 정류장. 택시가 승객을 기다리는 공간. | |||
경제 | ||||||
amenity | atm | ![]() |
ATM 기기. | |||
amenity | bank | ![]() ![]() |
은행. ATM기가 설치된 은행의 경우 ATM기는 따로 노드로 표기해 주시기 바랍니다. | |||
amenity | bureau_de_change | ![]() |
환전소. 외국 화폐나 수표를 현지 화폐로 바꿔주는 곳입니다. | |||
보건, 의료 | ||||||
amenity | baby_hatch | ![]() ![]() |
급할 경우 아기를 익명으로 보내서 안전하게 보호하고 입양시킬 수 있게끔 마련한 곳입니다. | |||
amenity | clinic | ![]() ![]() |
의원. 병원보다는 좀 더 작은 의료 시설입니다. 일상적인 건강 관련 문제에 대해 여기서 상담할 수 있습니다. | |||
amenity | dentist | ![]() ![]() |
치과 의원. 이, 잇몸, 턱 등을 다루는 의료 기관입니다. | |||
amenity | doctors | ![]() ![]() |
한 의사가 운영하는 소규모 의료 기관입니다. | |||
amenity | hospital | ![]() ![]() |
병원. 아픈 사람들을 집중적으로 치료하는 곳입니다. 응급실이나 그에 준하는 시설이 있을 시 emergency=* 태그를 붙여 나타냅니다. | |||
amenity | nursing_home | ![]() ![]() |
지속적인 돌봄이 필요한 장애인이나 노인을 위한 거주 공간입니다(요양원). 자세한 정보는 social_facility=*를 참조하세요. | |||
amenity | pharmacy | ![]() ![]() |
약국. 치료에 필요한 약을 제조, 유통하는 곳입니다. dispensing=yes dispensing=no 혹은 omitted |
|||
amenity | social_facility | ![]() ![]() |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 | |||
amenity | veterinary | ![]() ![]() |
동물병원. 수의사들이 진료하는 공간. | |||
healthcare | blood_donation | ![]() ![]() |
혈액, 혈장, 혈소판, (혹은 아마도) 줄기세포를 뽑아내는 곳(헌혈의 집). | |||
오락, 예술, 문화 | ||||||
amenity | arts_centre | ![]() ![]() |
미술관(예술관). 다양한 예술품이 전시되어 있는 곳. | |||
amenity | brothel | ![]() ![]() |
사창가. | |||
amenity | casino | ![]() ![]() |
카지노. 테이블 게임(룰렛이나 블랙잭 등)을 갖추었으며, 배팅을 할 수 있는 공간. | |||
amenity | cinema | ![]() ![]() |
영화관. | |||
amenity | community_centre | ![]() ![]() |
지역 행사나 축제에 사용되는 공간. | |||
amenity | fountain | ![]() ![]() |
분수. 문화적/장식용/오락용 분수가 있음. | |||
amenity | gambling | ![]() ![]() |
도박장. shop=bookmaker(마권 판매소), shop=lottery(복권 판매소), amenity=casino(카지노), leisure=adult_gaming_centre(성인게임 센터)와는 다릅니다.
여기서는 빙고나 빠칭코 등을 취급합니다. |
|||
amenity | nightclub | ![]() ![]() |
나이트클럽. | |||
amenity | planetarium | ![]() ![]() |
플라네타리움. | |||
amenity | social_centre | ![]() ![]() |
무료이며 소득이 되지 않는 활동을 하는 곳. | |||
amenity | stripclub | ![]() |
스트립바. 스트립쇼나 랩 댄스를 제공하는 공간(성 매매는 amenity=brothel을 사용하세요). | |||
amenity | studio | ![]() ![]() |
TV/라디오 스튜디오. | |||
amenity | swingerclub | ![]() ![]() |
집단 성교(난교)를 위해 만나는 장소. | |||
amenity | theatre | ![]() ![]() |
극장. 희곡이나 오페라 등을 선보이는 곳입니다. 영화관은 amenity=cinema를 쓰십시오. | |||
그 외 | ||||||
amenity | animal_boarding | ![]() ![]() |
(일반적으로 명절 때) 돈을 내고 동물을 잠시 맡겨 놓는 곳. | |||
amenity | animal_shelter | ![]() ![]() |
동물 보호소. | |||
amenity | baking_oven | ![]() |
빵 같은 것을 구울 때 사용하는 오븐. 보통 빵집(building=bakehouse) 안에 있음. | |||
amenity | bench | ![]() |
벤치. | |||
amenity | clock | ![]() |
시계(시계탑 포함). | |||
amenity | courthouse | ![]() ![]() |
법원. | |||
amenity | coworking_space | ![]() ![]() |
개인이나 여러 명이 공유하는 사무실(유료). | |||
amenity | crematorium | ![]() ![]() |
화장장. | |||
amenity | crypt | ![]() ![]() |
It is a stone chamber or vault beneath the floor of a burial vault possibly containing sarcophagi, coffins or relics. | |||
amenity | dive_centre | ![]() ![]() |
A dive center is the base location where sports divers usually start scuba diving or make dive guided trips at new locations. | |||
amenity | dojo | ![]() ![]() |
Training place for any of the Japanese arts. | |||
amenity | embassy | ![]() ![]() |
대사관. An embassy | |||
amenity | fire_station | ![]() ![]() |
소방서. A fire station | |||
![]() ![]() |
Deprecated. For campfires and firepits, see Tag:leisure=firepit | |||||
amenity | game_feeding | ![]() ![]() |
Game feeding place | |||
amenity | grave_yard | ![]() ![]() |
A (smaller) place of burial, often you'll find a church nearby. Large places should be landuse=cemetery instead. | ![]() |
||
![]() ![]() |
Do no use, leisure=fitness_centre is preferred! A place which houses exercise equipment for the purpose of physical exercise. | |||||
amenity | hunting_stand | ![]() ![]() |
A hunting stand | |||
amenity | internet_cafe | ![]() ![]() |
A place whose principal role is providing internet services to the public. | |||
amenity | kneipp_water_cure | ![]() ![]() |
Outdoor foot bath facility. Usually this is a pool with cold water and handrail. Popular in German speaking countries. | |||
amenity | marketplace | ![]() ![]() |
A place where trade is regulated, e.g. a square. | |||
amenity | photo_booth | ![]() |
Photo Booth – A stand to create instant photo. | |||
amenity | place_of_worship | ![]() ![]() |
A church, mosque, or temple, etc. Note that you also need religion=*, usually denomination=* and preferably name=* as well as amenity=place_of_worship. See the article for details. | ![]() ![]() ![]() |
||
amenity | police | ![]() ![]() |
A police station | |||
amenity | post_box | ![]() |
A box for the reception of mail. Alternative mail-carriers can be tagged via operator=* | |||
amenity | post_office | ![]() ![]() |
우체국. 우편 전달을 맡는 곳입니다. | |||
amenity | prison | ![]() ![]() |
교도소. | |||
![]() ![]() |
이 태그는 쓰지 마십시오. office=government를 참고하십시오. | |||||
amenity | ranger_station | ![]() ![]() |
National Park Visitor Headquarters | |||
amenity | recycling | ![]() ![]() |
재활용 시설. Recycling facilities (bottle banks, etc.). Combine with recycling_type=container for containers or recycling_type=centre for recycling centres. | |||
amenity | rescue_station | ![]() ![]() |
구조대. A rescue station | |||
![]() ![]() |
Deprecated. For sauna use: leisure=sauna | |||||
amenity | shelter | ![]() ![]() |
A small shelter against bad weather conditions. To additionally describe the kind of shelter use shelter_type=*. | |||
amenity | shower | ![]() ![]() |
Public shower or bath. | |||
amenity | table | ![]() |
A public table to sit down and eat or just relax | |||
amenity | telephone | ![]() |
공중 전화기. | |||
amenity | toilets | ![]() ![]() |
공중 화장실. 지역에 따라 사용료를 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
amenity | townhall | ![]() ![]() |
Building where the administration of a village, town or city may be located, or just a community meeting place | |||
amenity | vending_machine | ![]() |
자판기. 음료수, 신문, 휴지 등 갖가지 물품들을 팝니다. 판매 물품의 종류는 vending=*을 사용하여 나타내주십시오. | |||
amenity | waste_basket | ![]() |
A single small container for depositing garbage that is easily accessible for pedestrians. | |||
amenity | waste_disposal | ![]() |
A place where canal boaters, caravaners, etc. can dispose of rubbish (trash/waste). | |||
amenity | waste_transfer_station | ![]() ![]() |
A waste transfer station is a location that accepts, consolidates and transfers waste in bulk. | |||
amenity | watering_place | ![]() |
Place where water is contained and animals can drink | |||
amenity | water_point | ![]() |
Place where you can get large amounts of drinking water | |||
amenity | user defined | ![]() ![]() ![]() |
All commonly used values according to Taginfo |
This table is a wiki template with a default description in English. 영문판은 여기서, 한국어판은 여기서 편집하실 수 있습니다.
경계 (Boundary)
행정구역이나 그 외의 경계를 기술하는데 사용됩니다. 사용하는 방법을 알고 싶다면 Boundaries 문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Key | Value | Element | Comment | Rendering example | Photo | |
---|---|---|---|---|---|---|
boundary | aboriginal_lands | ![]() |
호주 원주민, 인디언, 등 원주민들을 위한 공식적인 보호 구역을 나타냅니다. | |||
boundary | administrative | ![]() |
행정구역을 나타냅니다. 행정적인 목적을 위해 정부나 다른 단체에 의해 분할된 구역입니다. 행정구역이 나타낼 수 있는 범위는 작게는 구나 동부터 크게는 국가까지입니다. 'admin_level=*' 콤도 태그를 사용해서 구역의 수준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한국의 법정동, 법정리는 행정적인 목적으로 만들어진 구역이 아니므로, Tag:boundary=legal로 나타내야 합니다.
일종의 지리적 논리에 반하는 aboriginal_lands(원주민 보호 지역)이 이 구역 "내부"에 있을 수 있습니다. 이를 기술하는 한가지 방법은 미국의 경우처럼 aboriginal_lands(원주민 보호 지역)이 이를 둘러싼 국가의 행정구역과 병렬적인 주권(parallel sovereignty)을 가지는 것입니다. |
|||
boundary | legal | ![]() ![]() |
법정동, 법정리의 구역을 나타냅니다. | |||
boundary | historic | ![]() ![]() |
과거에 역사적으로 존재했던 행정구역 경계로, start_date=*와 end_date=* 태그로 행정구역으로서 효력을 발휘하던 시기를 나타냅니다. 일시적으로 OSM에서 유지되고 있습니다. 추가로 admin_level=* 태그가 필요합니다. | |||
boundary | maritime | ![]() |
해양 경계를 나타냅니다 | |||
boundary | marker | ![]() |
A 경계표식(en), 국경 표식, 경계석, 또는 국경석은 국경을 세운 시점이나, 국경이 변경된 시점을 나타내는 물리적인 표식입니다. Tag:boundary=marker와 Talk on OSM forum를 함께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
boundary | national_park | ![]() |
뛰어난 자연 경관 영역을 나타냅니다. 보존을 하기 위한 영역과 레크리에이션을 위한 영역이 있습니다. (Other languages). | |||
boundary | political | ![]() |
선거구를 나타냅니다. | |||
boundary | postal_code | ![]() |
우편번호 구역을 나타냅니다. | |||
boundary | protected_area | ![]() |
국립공원, 해상보호구역, 유적, 자연보호구역, 문화재, 등과 같이 보호되는 구역을 나타냅니다. | |||
boundary | religious_administration | ![]() |
종교의 행정구역을 나타냅니다. admin_level=* 태그가 추가로 필요합니다.Talk:Key:boundary#Religious authority boundaries를 함께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
boundary | user defined | ![]() ![]() |
Taginfo에 있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값 | |||
Attributes | ||||||
admin_level | (number) | ![]() |
Applies to boundary=administrative and is usually in the range 1 to 10, except for several countries (Bolivia, Germany, Mozambique, Netherlands, Philippines, Poland, Turkmenistan, Venezuela) where it is in the range 1 to 11 – see boundary. | |||
border_type | * | ![]() ![]() |
To distinguish between types of boundary where admin_level isn't enough. Used in several different ways e.g in maritime contexts. | |||
start_date | (date) | ![]() |
Useful if there are competing historic boundaries or the boundary is very recent (or if it will become effective in a near future) and if keeping previous boundaries are still needed separately (including for statistical maps that are based on older boundaries). | |||
end_date | (date) | ![]() |
Should be specified for all historic boundaries, or boundaries that will soon become ineffective (and possibly replaced by others) e.g. for administrative territorial subdivision reforms. | |||
fire_boundary | yes | ![]() |
Tag fire_boundary used to mark the boundaries of the areas of fire brigades out within the project Karta01. |
This table is a wiki template with a default description in English. Editabl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