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Import/Guidelines
들여오기 지침과 자동화 편집 행동 강령은 외부 출처의 데이터를 OpenStreetMap 데이터베이스로 들여올 때 반드시 따라야 합니다.
들여오기 작업은 기존의 일반적인 편집보다 더 신중하고 세심하게 계획 및 실행되어야 합니다.
부실한 들여오기는 기존 데이터와 지역 매핑 커뮤니티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Data Working Group은 오픈스트리트맵 재단(OSMF)으로부터 이러한 지침을 따르지 않는 수입을 감지하고 중단시키는 임무를 부여받았습니다. 이 지침을 따르지 않으면, 귀하의 계정이 차단될 위험이 있습니다.
절차
당신의 중앙·지방 정부, 비영리 단체, 혹은 다른 조직이나 개인이 OpenStreetMap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훌륭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면, 데이터를 어떻게 들여오는지에 대한 개요부터 알아야 할 사항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들은 이 문서의 다음 섹션들과 관련 문서들에서 더 자세히 설명됩니다.
1 단계: 사전 준비 사항
- OpenStreetMap의 기본 개념과 편집 방법에 익숙해지세요.
- 데이터 가져오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검토하세요.
- 가져오려는 데이터를 식별하세요. (예: 건물, 토지 이용, 관심 지점(POI), 주소 등)
- OpenStreetMap의 라이선스를 숙지하세요.
- 가져오기 가이드라인을 시작 전에 충분히 검토하세요.
- 해당 데이터를 가져오는 데 대한 커뮤니티의 관심을 파악하기 위해 커뮤니티에 연락하세요.
2 단계: 라이선스 승인
- OSM에 데이터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데이터 소유자로부터 적절한 사용 권한과 라이선스를 받아야 합니다. 만약 해당 데이터의 라이선스가 OpenStreetMap의 ODbL과 호환되지 않는다면, 그 데이터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데이터는 명확한 라이선스가 없거나, 제한적인 라이선스, OSM과 호환되지 않는 오픈 라이선스, 또는 단순한 면책 조항(disclaimer)만 포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반드시 데이터 관리자나 기관에 연락하여 사용 가능 여부나 명확한 허가를 요청해야 합니다. 때로는, 현재 라이선스가 제한적으로 보이더라도 해당 기관이 OpenStreetMap Open Database License 조건에 동의할 의향이 있는지를 묻는 것만으로도 허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주요 쟁점을 다룬 예시 이메일은 Import/Getting Permission을 참고하세요. 가져오기 가능한 데이터의 호환 및 비호환 라이선스를 간단히 보려면 ODbL Compatibility도 함께 참고하세요.
3 단계: 문서화
- 가져오기 작업을 위해 OSM 위키에 반드시 계획을 작성해야 합니다. 계획의 세부 사항을 설명하는 위키 페이지를 만드세요. 이 계획에는 데이터를 OSM XML로 변환하는 방법, 작업 분담 방식, 융합(기존 데이터와의 중복 또는 충돌 처리) 처리 방법, GIS 속성을 OSM 태그에 매핑하는 방법, 데이터를 단순화할 수 있는 방법, 되돌리기 계획, 변경 집합(changeset) 크기 정책, 그리고 품질 보증을 위한 계획 등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문서화 페이지는 들여오기/계획 개요를 기본 틀로 사용하세요.
4 단계: 커뮤니티 동의 확보
- 계획을 논의하세요. 위키 페이지 링크를 포함하여, 가져오기 계획을 지역 OSM 커뮤니티에 알리세요. 이는 해당 데이터에 대한 기존 검토 경험을 얻는 데 도움이 됩니다. 지역 사용자 그룹, 지역 챕터, 국가별 메일링 리스트 등을 확인해 보세요. osm-community-index를 통해 활동 중인 지역 커뮤니티를 찾을 수도 있습니다.
- 커뮤니티로부터 질문을 받을 준비를 하세요. 각 데이터 레이어의 가져오기 적절성에 대해 커뮤니티와 논의하세요. 일부 데이터는 쉽게 가져올 수 있지만, 일부(예: 도로 중심선)는 훨씬 복잡할 수 있습니다.
- 지역 커뮤니티의 동의 없이는 데이터를 가져와서는 안 됩니다.
5 단계: 가져오기 검토
- 데이터 준비와 문서화가 모두 완료되면, 검토 게시물을 제출할 수 있습니다.
- 커뮤니티 포럼, 관련 지역 커뮤니티, 또는 해당 커뮤니티 분류가 없다면 일반 채널에 새 게시물을 반드시 제출해야 합니다. 이 게시물에는 반드시
import
및import-proposal
태그를 포함하고, 이 템플릿을 따라야 합니다. - 게시 후 14일이 지나고 모든 우려 사항이 해결되었다면, 가져오기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6단계: 업로드
- “<username>_Import”라는 가져오기 전용 계정을 만들어서 쓰세요.
- 계획한 대로 작업을 진행하세요.
- 진행 상황을 추적하세요.
- 커뮤니티에 작업 진행 상황을 계속 알려 주세요.
- 가져오기가 완료되면 모두에게 완료 사실을 알리세요.
주요 고려사항
제안한 가져오기 논의하기
적절한 지역 커뮤니티 및 OpenStreetMap 커뮤니티 포럼에서 가져오기 계획을 논의하세요. 적절한 소통 채널을 통해 지역 커뮤니티에 연락하세요. 많은 지역 커뮤니티가 자체 위키 페이지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비슷한 가져오기가 이전에 논의된 적이 있더라도, 지역 커뮤니티와 반드시 다시 논의해야 합니다. 이렇게 해야 커뮤니티가 계획을 인지하고 문제나 충돌이 발생하기 전에 제기할 수 있습니다. 특히 데이터가 오랫동안 공개되어 있었으나 아직 가져오지 않은 경우라도, 지역 커뮤니티와 논의 없이 진행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인도주의 문제, 재난 대응, 개발 관련 가져오기 작업은 HOT에 추가로 상담해야 하며, 이상적으로는 HOT 메일링 리스트를 통해 연락하는 것이 좋습니다.
문서화하기
- 주요 문서: 들여오기/계획 개요
만약 들여오기를 진행할 계획이라면, 위키에 그 들여오기에 관한 상세 내용을 담은 페이지를 만들어 주세요. 또한 귀하의 페이지를 해당 도시나 국가의 지역 프로젝트 목록 페이지에서 연결해 주세요. 페이지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 데이터 출처의 정확성 및 라이선스
- 사용하려는 들여오기/소프트웨어와 사용 중인 소스 코드를 공유하세요.
- 데이터를 다른 형식에서 OSM 형식으로 어떻게 변환할 것인지 정확하게 설명하세요.
- 변환된 데이터가 어떻게 보일지, 사용되는 정확한 태그를 명시하세요.
- 들여오기를 수행하는 계정의 사용자명과 변경 세트(changeset)가 어떻게 태그될지에 대한 기타 세부사항
들여오기가 진행되는 동안
- 라이브 데이터베이스에 들여온 예시 데이터 링크를 제공하세요.
참고로, 협의 후 들여오기 범위를 변경하면 협의가 무효화됩니다. 데이터 세트 X의 들여오기에 동의한 사람들이 있는데, 나중에 X+Y를 들여오기 할 수는 없습니다.
데이터 라이선스가 적합한지 확인하기
우리는 '자유(free)'[1] 데이터에만 관심이 있습니다. 우리는 데이터를 오픈스트리트맵 라이선스 아래에서 공개할 수 있어야 합니다. 퍼블릭 도메인 데이터 소스를 사용하는 것은 허용되며, 그런 소스가 꽤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 이상은 더 복잡해집니다.
귀하의 데이터는 ODbL과 호환되어야 합니다.
들여오기를 하는 사람은 자신이 가져온 데이터에 대해 새로운 즉 추가 저작권을 주장하면 안 됩니다. 예를 들어, 퍼블릭 도메인 데이터를 가져오기하는 경우, 가져오기한 데이터의 사용을 제한하려 해서는 안 됩니다. 들여오기 계정은 원본 데이터 제작자가 부여한 권한을 거부해서는 안 됩니다.
또한 출처 표기 요구사항의 세부사항을 참고해 주세요. 우리는 일부 출처 표기를 제공합니다:
- 출처는 위키의 Contributors 페이지에 언급될 수 있습니다.
- 매우 대규모 기여는 openstreetmap.org/copyright에 목록으로 올라갈 수 있습니다.
- 출처에 관한 정보는 들여오기 계정과 변경 세트(changesets)에 기록되며, 객체 이력에서 쉽게 참조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이 중 어떤 것도 데이터 소스의 적절한 출처 표기로 인정되지 않는다면, 들여오기를 진행할 수 없습니다.
호환되는 라이선스 하에 있다고 주장하는 데이터라도 결국 우리가 자유 사용이 허락되지 않았다고 간주하는 출처에서 유래한 것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위키피디아에서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하에 일부 지리 데이터가 제공되지만, OSM에서는 그 데이터 중 일부가 단순히 구글 지도에서 파생된 것으로 널리 믿어지고 있어 실제로는 명시된 라이선스 하에 제공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명시된 라이선스와 상관없이 출처가 불분명한 데이터를 들여오기하지 마세요.
가져오기 검토
이 템플릿을 사용하여 커뮤니티 포럼에 검토를 제출하세요.[2]
import
및 import-proposal
태그를 포함해야 합니다.
제목은 Proposed import of (Database)
로 설정하세요.
이메일로 게시물을 제출하는 경우, 제목을 [import import-proposal] Proposed import of (Database)
로 설정하세요.
# Import Title
Hello (COMMUNITY), I am proposing to import the (DATASET) dataset, sourced from (AGENCY).
## Documentation
This is the wiki page for my import:
wiki.openstreetmap.org/wiki/
This is the source dataset's website:
http://example.org/
The data download is available here:
http://example.org/download
This is a file I have prepared which shows the data after it was translated to OSM schema:
https://drive.google.com/file/
(Replace the links with the links for your Import)
## License
I have checked that this data is compatible with the ODbL.
This data is distributed under (LICENSE).
(If you have received special permission/waiver, mention it here.)
## Abstract
(Provide a summary of your import. Be sure to mention:
* Information about the dataset
* Your relationship to the dataset, if any.
* What the dataset contains.
* The size of the dataset.
* The method you are using to import into OSM.
* How you plan to translate the dataset tags to OSM schema, including the table of tags used on imported objects.
* Your approach to conflation.
* Any scripts you are using.)
들여오기를 위한 전용 사용자 계정 사용
오픈스트리트맵에서 대규모 들여오기를 진행할 때는 전문 계정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들여오기 계정을 효과적으로 설정하려면 아래의 가이드라인을 따르세요:
1. 계정 이름: 계정 이름을 다음 형식으로 지정하세요: “(YourUsername)_Import”. 예를 들어, "MapMaster_Import"는 MapMaster라는 사용자의 경우입니다.
2. 주 계정 링크 추가: 들여오기 계정의 프로필에 본인의 기본 OSM 계정으로의 링크를 추가하여 계정 간의 명확한 연결을 만듭니다.
3. 들여오기 위키 페이지 링크 추가: 들여오기 계정의 프로필에 들여오기 세부 정보를 담은 위키 페이지 링크를 추가하세요. 이는 OSM에서 변경 기록이 영구적이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4. 들여오는이 역할: OpenStreetMap은 기물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업로드 제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들여오기가 이 제한에 걸릴 수 있습니다. 만약 그렇다면, 데이터작업반에 data@openstreetmap.org로 이메일을 보내 들여오기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공하세요. DWG는 들여오는이 역할을 부여하여 제한을 피할 수 있습니다. 이 역할은 들여오기를 진행하는 데 필수는 아닙니다.
5. 여러 계정의 이메일 주소: 들여오기 계정은 본 계정과 동일한 이메일 주소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메일 제공업체에서 지원하는 경우(많은 이메일 제공업체들이 지원), 서브 주소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는 별도의 이메일 주소를 설정하고 이메일을 전달할 수도 있습니다.
이 가이드라인을 따르면 들여오기 작업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OSM 커뮤니티 내에서 투명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올바른 태그 사용
들여오기할 때 OSM 커뮤니티에서 잘 알려진 태그를 사용해야 하며, 새로운 태그를 만들지 마세요.
원본 데이터에서 사용된 ID와 같은 메타데이터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실과 관계가 없는 데이터베이스 값을 문서화하지 마세요. 데이터 소스에는 많은 필드가 있을 수 있지만, 실제이며 검증 가능한 메타데이터만 포함하세요.
데이터 위에 데이터 올리지 않기
전통적인 GIS 시스템과 달리 OpenStreetMap에는 레이어 개념이 없습니다. 중복 데이터를 OSM에 추가하지 않도록 일치 작업(conflation)이 필요합니다. JOSM의 일치 플러그인과 QGIS의 기하학적 도구를 사용하여 들여오기에서 중복 데이터를 제거하세요. 커뮤니티와 논의하고 일치 작업에 대한 접근 방법을 문서화하세요.
데이터베이스 손상 방지에 주의하기
데이터베이스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주의하고, 다른 사람들이 청소해야 할 엉망인 들여오기를 남기지 않도록 하세요.
만약 들여오기가 잘못되었거나 업로드를 중간에 멈춰야 했다면, 이를 [revert|되돌리기] 해야 합니다. 도움이 필요하면 Imports 또는 다른 커뮤니티 구성원에게 연락하세요. 들여오기를 되돌리는 방법을 모르면 처음부터 들여오기를 진행하지 마세요. 들여오기에 대해 다른 사용자들로부터 우려나 불만이 제기되면, 가능한 한 빨리 이를 해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