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Key:maxspeed:variable
![]() |
![]() |
설명 |
---|
길의 제한속도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가변적임을 나타냄. (예: 고정된 도로 표지판 대신 전광판을 활용) ![]() |
그룹: 제한 |
해당 요소의 사용 |
유용한 조합 |
같이 보기 |
상태:승인![]() |
이 태그를 위한 도구 |
maxspeed:variable=*
태그는 highway=*
, railway=*
또는 waterway=*
에 추가되어 제한 속도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가변적임을 나타냅니다.
이 maxspeed:variable=*
태그는 상황에 따라 더 낮은 제한속도가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지만, 이것이 직접 제한속도를 나타내지는 않습니다. 더 낮은 제한속도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 maxspeed:conditional=<lower_speed> @ <condition>
태그의 `<lower_speed>` 부분에 더 낮은 제한속도(km/h), `<condition>` 부분에 해당 조건을 입력해 나타내기를 권장합니다. (예시: `wet` or `flashing` (flashing lights) 등)
가변속도제한을 실시하지 않을 때의 제한속도가 알려져 있는 경우, maxspeed=*
로 태그하세요.
태그
key/value | Description |
---|---|
maxspeed:variable=yes
|
maxspeed=* 태그에 명시된 속도가 가변속도제한에 의해 하향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이는 maxspeed=signals |
maxspeed:variable=<사유>
|
위와 같은 의미이지만 추가로 하나 이상의 속도 조정 사유를 나타냅니다. (;로 구분) 입력 가능한 값은 다음 문단을 참고하세요. |
maxspeed:variable=no
|
기본값으로, maxspeed=* 태그에 명시된 속도가 고정된 제한속도임을 의미합니다.그럼에도 고정된 제한속도는 조건에 따라 변화할 수 있습니다. (예: 시간대) |
maxspeed:variable:forward=* maxspeed:variable:backward=*
|
위와 같은 의미이지만 이 태그는 한 방향으로만 적용됩니다. 만약 값이 존재하면 maxspeed:variable=* 를 덮어씁니다.
|
<사유>의 값
이 값은 가변속도 제한구간에서 제한속도가 변화하는 이유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가변속도 제한구간을 자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보여야 합니다. 이유를 알 수 없다면 yes
를 사용하세요.
이 값들은 제한속도가 얼마나 자주 바뀌는지에 대한 힌트를 암시합니다.
maxspeed:variable 값
|
설명 | 예시 |
---|---|---|
peak_traffic
|
연중 여러 날의 첨두시간대에 교통량이 많을 때 제한속도가 자주 하향됩니다. 교통 관리 시스템이 차량의 속도를 조화시켜 교통 처리량을 최적화하고, 정체 구간으로의 차량 유입을 줄이고, 안전을 위해 제한속도를 하향합니다.
참고: 이 값은 사건에 의한 교통량 증가를 의도한 것이 아닙니다. (예: 연휴 기간, 대규모 행사) 가변형 속도제한에 의해 제한속도가 하향되는 상황이더라도, 대신 |
![]() 러시아워의 교통 정체로 시속 50마일의 제한 속도가 적용됨 |
weather
|
이 값은 기상 상황에 의해 제한속도가 하향되는 것을 나타냅니다. 대부분의 현대 교통 관리 시스템은 노면의 젖음, 강설/결빙 또는 안개를 인식하는 센서가 있습니다. 이 정보는 안전을 위해 속도를 제한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참고: |
![]() 안개 안내 시스템("⚠ MIST")에 의해 제한속도가 시속 80km로 하향됨. 같은 속도 표시기가 정체 경고 시스템으로도 사용되므로, 값은 참고: 네덜란드에서는 다른 나라와 다르게 전자 제한속도 표시기에 붉은 원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
environment
|
제한 속도가 환경 보호 또는 인근 주민을 위해 하향될 수 있습니다. (예: 매연, 스모그, 소음을 줄이기 위해).
참고: 이 값 (그리고 일반적으로 |
오염을 줄이기 위해 가변 제한속도가 100으로 설정된 모습 (indicated by IG-L) |
school_zone
|
인근 학교의 아이들로 인해 더 낮은 제한 속도가 표시됨.
참고: 이는 어린이 보호구역을 위한 일반적 태그가 아닙니다. ( |
![]() 이 경우는 실제 가변 속도가 알려져 있고 항상 동일하기에 |
obstruction
|
제한속도가 예외적으로 사건에 의한 교통량 증가, 사고나 통제같은 상황(연중 며칠정도만, 연휴의 시작이나 끝 등), 도로 공사나 다른 교통 방해가 전방에 있을 때에만 하향됩니다.
Note: 교외 지역의 터널 안과 출입구에 있는 가변형 제한속도는 |
![]() Here the tunnel has been completely closed due a car break down ("Panne"), the reduced variable speed limit would be 30. |
border_control
|
국경 경찰이나 세관이 국경 검문을 위해 차량을 멈춰 세울 때 제한 속도가 하향됩니다. (e.g. diverting traffic towards a ![]() barrier=border_control ).
|
![]() 국경 검문으로 인해 제한속도가 70 km/h로 하향됨 ("70 Controle"). 이 전자 표지판은 "90"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예시
maxspeed:variable=yes
,maxspeed=80
– 제한최고속도가 80km/h이나, 교통 상황에 따라 하향될 수 있음을 나타냄.maxspeed:variable=yes
,maxspeed=none
– 가변형 속도제한이 적용되지 않으면 (법적)제한최고속도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냄. 일반적으로 독일 아우토반에서만 사용할 만함.
가능한 실수
같이 보기
maxspeed=*
- 도로, 철도 및 수로의 법적 제한 최고속도를 나타냄.maxspeed:conditional=*
- 특정 상황에서만 적용되는 도로, 철도 및 수로의 조건부 법적 제한 최고속도를 나타냄.